본문 바로가기

지린 문학/좋은 시 읽기7

정동진역 정동진역                                      김영남       겨울이 다른 곳보다 일찍 도착하는 바닷가그 마을에 가면정동진이라는 억새꽃 같은 간이역이 있다.계절마다 쓸쓸한 꽃들과 벤치를 내려놓고가끔 두 칸 열차 가득조개껍질이 되어버린 몸들을 싣고 떠나는 역.여기에는 혼자 뒹굴기에 좋은 모래사장이 있고,해안선을 잡아넣고 끓이는 라면집과파도를 의자에 앉혀놓고잔을 주고받기 좋은 소주집이 있다.그리고 밤이 되면외로운 방들 위에 영롱한 불빛을 다는아름다운 천장도 볼 수 있다. 강능에서 20분, 7번 국도를 따라가면바닷바람에 철로 쪽으로 휘어진 소나무 한 그루와푸른 깃발로 열차를 세우는 역사(驛舍),같은 그녀를 만날 수 있다.    (97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당선작) 2024. 10. 5.
심야의 탐독 심야의 탐독 한분순  그믐달 활시위로 떠은유의 과녁 맞추고 밤하늘 유랑하다가신화를 인용한다 우주는 거대한 책장갈피마다 꽂힌 별   (시조 감상)어느 날 밤, 밤하늘을 바라보다 우주의 끝이 궁금했다.이 세상에 우주의 끝을 아는 이는 없다.  시인의 의식은 그믐달이란 활의 시위가 우주를 향했다.어느 나라 어떤 신화를 인용한 것일까? 우주의 책장에 별이 갈피마다 가득하다. 2024. 10. 4.
첫 사랑 ; 서정춘 2024. 8. 5.
어린아이들 - 백석 어린아이들  - 백석    바다에 태어난 까닭입니다.  바다의 주는 옷과 밥으로 잔뼈가 굴른 이 바다의 아이들께는 그들의 어버이가 바다으로 나가지 않는 날이 가장 행복된 때입니다. 마음놓고 모래장변으로 놀러 나올 수 잇는 까닭입니다.  굴 깝지 우에 낡은 돋대를 들보로 세운 집을 지키며 바다를 몰으고 사는 사람들을 부러워하며 자라는 그들은 커서는 바다으로 나아가여야 합니다.  바다에 태어난 까닭입니다. 흐리고 풍낭 세인 날 집안에서 여을의 노대를 원망하는 어버이들은 어제날의 뱃노리를 폭이 되엇다거나 아니 되엇다거나 그들에게는 이 바다에서는 서풍 끝이면 으레히 오는 소낙비가 와서 그들의 사랑하는 모래텀과 아기는 옷을 적시지만 않으면 그만입니다.  밀물이 쎄는 모래장변에서 아이들은 모래성을 쌓고 바다에 싸움.. 2024. 7. 6.
대나무 ; 이승현 대나무 이승현 그 어떤 시련에도 꿋꿋이 산 아버지처럼 하늘에 안겨야 한다 바람도 안아야 한다 마디는 굵어지지만 속은 더욱 환하다 (『나래시조』2013. 봄호 ) (작품 읽기) 문제완 시조 잡지가 문 밖을 서성이다 안 방으로 들어 왔다.앞 쪽에 2013년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에 대해 정용국 시인의 논설이 먼저 눈길을 끈다 나래시조에는 단시조들이 앞 줄에 단아하게 앉아 있다.그 중 이승현 시인의 '대나무'가 '초대 없는 손님처럼' 가슴께로 다가 온다. 첫 행에서, 삶의 질곡을 올곳하게 헤치며 살아 낸 여느 아버지 모습이 나의 삶과 오버랩 되면서 시의 길을 내고 있다. '하늘에 안겨야' 하는 수용적 삶의 여생과'바람도 안아야' 하는 포용적 자연 순화 과정이 거창하게도, 율곡 선생의 과거 급제작 "천도책天道策".. 2023. 12. 25.
와락 / 정끝별 와락 / 정끝별 정끝별 반 평도 채 못되는 네 살갗 차라리 빨려들고만 싶던 막막한 나락 영혼에 푸른 불꽃을 불어넣던 불후의 입술 천번을 내리치던 이 생의 벼락 헐거워지는 너의 팔 안에서 너로 가득 찬 나는 텅 빈, 허공을 키질하는 바야흐로 바람 한자락 [시인 약력] 정끝별 전남 나주 출생 / 시인, 대학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문학 박사. 명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소월시문학상 대상. 만해사상실천선양회 유심작품상 시집 , , , 외 시선집/평론집 다수 [작품 읽기] 문제완 와락 뒤에 흔히 따라 오는 것이 포옹일 것이다. 요즘 말하는 '프리허그'와는 감정의 깊이가 다르다. 친한 사람을 만나면 아니 반가운 연인을 만나면 와락 안고 안기는 마음이 왜 없겠는가. '피부 접촉'은 살갗과의 만남이다. 살가운.. 2022. 12. 8.
[박해성 시조] 독감 [박해성 시조] 독감 지린 문학 세상/작품 감상 ★ 2013-07-03 06:45:05 독감 박해성 폭탄을껴안은테러분자의습격이다 뇌관이 터질듯이 낄낄 꽃피는 두통 협상은 결렬되었다 지금 나는 화약고다 - 2013년 여름호 - [작품 읽기] 문제완 시조『두통』에서 일반적인 시조형태의 파격을 본다. 일상에서는 흔하게 볼 수 있는 소재이지만, 긴급 타전하듯 긴박한 분위기가 전개된다. 독감은 누구나 겪을 수 있는 흔한 질환일 터, 화자를 통한 심각한 시적 장치로 평이한 일상이 극한의 테러 분위기로 다가와 충격을 주고 있다. 1연과 2연에서 사용된 시어들은 사뭇 전투적이고 살벌하다. '폭탄', '테러', '습격' 그리고 '뇌관' 등이 그렇다. 평소 호방한 시인의 품성이 잘 들어난 것이리라. 1연에서 '띄어쓰지 않.. 2022. 12. 8.